지식창고
Q
3V(5V) 가운데 Variety가 현업에서 볼때 Big data의 특징이 되나요? 실제로 유용한 정보가 비정형데이타로 부터 산출되는 비율은 얼마정도 되나요?

트레드링스 답변입니다.
안녕하세요! 트레드링스입니다.
실무 및 현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정형화 시키고, 정형화된 데이터에 대한 패턴 분석 및 기업 내부에 저장함으로 인해 데이터의 활용성이 높아집니다.
과거에는 이러한 정보들을 정형화하고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인 구조가 불가능하였지만,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현 시대는 빅데이터 취급이 가능해졌습니다.
비정형데이터의 정형화 비율은 사례 별로 다르기 때문에 비율로 말씀드리기는 어려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.
감사합니다.

이형준 답변입니다.
그렇다면 제가 조금 질문을 바꾸어서 드려볼게요. 우리가 흔히 ETL 이라고 부르는 DW를 구성하는 것이 물류부분의 빅데이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훨씬 더 선호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거든요. 마치 지금 보여주시는 엑셀데이타의 형태처럼요. 그래서 과연 ELT라고 부르는 Data lake 방식의 빅데이타처리가 실제 물류데이타로 부터 유용한 정보를 얻어내는 데 과연 많이 사용될까하는 생각이 들어서 드린 질문입니다.

트레드링스 답변입니다.
안녕하세요! 트레드링스입니다.
가치있는 질문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.
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본 웨비나 종료 후 당사로 연락 주시고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: )
감사합니다.
Q
질문] 디지털 포워딩을 사용하여 생산성과 수익성을 향상시키려는 경우 중요하게 고려하고 분석해야 할 요소들은 무엇인가요?

이중원 답변입니다.
수익성 측면에서는 운임 경쟁력과 사내 리소스 절감으로 여겨집니다.
운임 경쟁력은 검토의 스크리닝 과정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, 현재 구매/해외영업 담당자 분들의 리소스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프로덕트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